![]() |
A neonatal unit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in this file photo taken in 2019. Yonhap 2019년 촬영된 이 자료 사진에서 한 종합병원의 신생아실이 보인다. 연합 |
Gov't urged to fix housing, inequality issues to change trend
정부, 주거•불평등 문제 해결 통해 비혼•저출산 추세 극복할 것 촉구 받아
By Lee Hyo-jin
Just four percent of unmarried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see marriage and childbearing as essential in their lives,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that paints an even gloomier picture of the country's continuously falling fertility rate.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20~30대 미혼 여성의 불과 4%만 인생에서 결혼과 출산이 필수라고 답해 끊임없이 감소하는 한국의 출산율에 한층 더 암울한 전망을 제시했다.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ark Jeong-min, a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Sunday. Park surveyed 281 unmarri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and 40 on their thought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이번 연구는 박정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진행했으며 26일 학회지 ‘사회복지연구'에 게재되었다. 박 교수는 결혼과 출산에 대한 생각에 대해 만 20~34세 미혼 남녀 281명을 조사했다.
Only four percent of the female respondents agreed to a question asking whether "marriage and childbirth are an essential part of a woman's life," while about 13 percent of male respondents believed so.
여성 답변자 4%만이 ‘여성의 삶에서 결혼과 출산이 필수적'이라고 답한 반면 약 13%의 남성이 해당 질문에 동의했다.
Also, over 53 percent of women agreed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not important in a woman's life," compared to 26 percent of men who approved of the idea.
또한 53%가 넘는 여성이 ‘결혼과 출산 모두 중요하지 않다'는데 동의해 같은 질문에 동일한 대답을 한 비율인 26%과 차이를 보였다.
The survey's results reveal more about Korea's continuously falling birth rate.
이번 조사 결과는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한국의 출산율에 대해 많은 점을 드러냈다.
According to the latest Statistics Korea data, the country's total fertility rate ― or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a woman bears in her lifetime ― fell to 0.78 last year, the lowest figure since the country began to collect relevant data in the 1970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of OECD member states was 1.59 as of 2020. Korea is the only OECD country with a fertility rate lower than one.
가장 최근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한국의 ‘출산율'은 지난해 0.78명으로 떨어져 1970년대 집계 이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출산율은 2020년에 1.59명이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출산율이 1명에 못 미치는 국가다.
The rate is showing no signs of a rebound despite years-long government efforts to encourage couples to have more children. During the last 16 years, Korea spent roughly 280 trillion won ($210 billion) in response to the plummeting fertility rate.
부부의 출산 장려를 위해 정부의 수년 간의 노력했지만 출산율은 올라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16년 동안 급감하는 출산율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 약 280조(2100억 달러)를 썼다.
KEY WORDS
■ essential 필수적인, 극히 중요한
■ gloomy 우울한, 비관적인
■ continuously 연달아
■ reveal 드러내다
■ bear (아이를) 낳다
■ rebound 만회, 반등
■ roughly 대략
■ in response to ~에 응하여
■ plummet 곤두박질치다, 급락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