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urvey shows 9 out of 10 foreigners want to continue living in Korea
외국인 10명 중 9명,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조사 결과 나와
By Yi Whan-woo
More than one out of five naturalized Koreans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here due to where they originally came from, their lack of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how they look, for not being rich and other reasons, according to a report, Tuesday.
귀화한 한국인 5명 중 1명 이상이 출신 국가, 한국어 능력 부족, 외모, 재력 등의 이유로 국내에서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화요일 전해졌다.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the report comes ami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aturalized citizens as well as their higher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통계청이 발표한 이 자료는 귀화시민의 수가 증가하고 경제 활동 참여율이 높아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
The report said that slightly less than one out of every five foreign nationals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for the same reasons the naturalized Koreans did.
이 자료는 5명 중 1명 미만의 외국인들이 귀화한 한국인들과 같은 이유로 차별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The report was aimed at finding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employment, health, welfare, communication, downtime and other relevant factors among immigrants.
이 자료는 국내 이민자들 사이에서 고용, 건강, 복지, 의사소통, 휴식 시간 등과 관련된 요소에서 삶의 질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The report was based on a survey of 5,000 naturalized citizens and 20,000 foreign national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4 to July 7 this year.
이 자료는 5,000명의 귀화시민들과 2만 명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이 설문조사는 올해 5월 24일부터 7월 7일까지 실시되었다.
A total of 20.5 percent of the 5,000 naturalized Korean citizens responded tha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during the previous year from the time of the survey.
5,000명의 귀화한 한국시민들 중 20.5%가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지난 해 동안 차별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One's country of origin accounted for 63.6 percent of the reasons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while one's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accounted for 28 percent, one's appearance for 4.7 percent, one's economic status for 1.9 percent, one's occupation for 0.9 percent and others for 0.9 percent.
차별 받는 이유로는 출신국가가 63.6%로 가장 많았고, 한국어 능력 부족이 28%, 외모 4.7%, 경제적 수준 1.9%, 직업 0.9%, 기타 0.9% 순이었다.
The finding was comparable to 19.7 percent of the 20,000 foreign nationals who responded that they faced discrimination during the cited period.
이 조사 결과는 20,000명의 외국인들 중 19.7%가 설문조사 기간 동안 차별에 직면했다고 응답한 것과 비교해 볼 수 있다.
The country of origin accounted for 58 percent of the reasons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One's Korean language skills accounted for 27.9 percent of the discrimination cases, appearance for 8.3 percent, economic status for 1.4 percent, occupation for 1.8 percent and other reasons for 2.7 percent.
출신국가는 차별 받는 이유의 58%를 차지했다. 한국어 능력 부족은 27.9%, 외모 8.3%, 경제적 수준 1.4%, 직업 1.8%, 기타는 2.7%를 차지했다.
Meanwhile, the report showed the number of naturalized Koreans aged 15 or older who acquired citizenship here between 2017 and May 2022 totaled 52,000, up 5.7 percent from 2021.
한편, 이 자료를 통해 지난 2017년부터 2022년 5월 사이에 한국에서 시민권을 취득한 15세 이상의 국내 상주 귀화자의 수는 5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ome 40.8 percent of the 52,000 were originally from Vietnam, and another 33 percent were ethnic Koreans from China.
52,000명 중 40.8%가 베트남 출신, 33%가 중국 조선족 출신이었다.
Of the 52,000, 36,000 are considered economically active, meaning that they are either engaged in work or willing to work. The number is up 6.9 percent from last year.
52,000명 중 36,000명은 일을 하고 있거나 일할 의지가 있는 ‘경제 활동 인구'다. 해당 수치는 지난해보다 6.9% 증가했다.
The employment rate among naturalized Koreans correspondingly amounted to 65.3 percent, a 1.7-percentage point increase from 2021.
이에 상응하여 귀화한 한국인의 취업률은 65.3%에 달해 2021년보다 1.7%포인트 증가했다.
KEY WORDS
■ naturalize 귀화시키다
■ discrimination 차별
■ slightly 근소하게
■ downtime 휴식 시간
■ conduct 실시하다, 시행하다
■ status 수준, 지위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