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resident living in a shanty town in Seoul walks down a corridor, July 25, 2021. The photo above is unrelated to the article. Yonhap 2021년 7월 25일 서울 판자촌에 사는 거주민이 복도를 걸어 내려가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
Number of men dying alone is 4 times higher than that of women, gov't study shows
정부 조사, 남성 고독사 수가 여성보다 4배 높은 것으로 밝혀
By Lee Hyo-jin
A rising number of lonely deaths, or "Godoksa" in Korean, has been widely considered as a consequence of the country's rapidly aging population. It was often thought that the unattended deaths, which go unnoticed for days, or even months, usually occur among elderly people who had been cut off from their families, relatives and neighbors for a long time.
홀로 숨지는 ‘고독사' 증가는 한국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의 결과로 널리 여겨진다. 며칠, 심지어 몇 달 동안 눈에 띄지 않고 방치된 사망은 대개 가족, 친척, 이웃과 오랫동안 단절된 노인들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In Korea, however, this trend seems to be more common in younger groups.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젊은 연령층에서 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A new government study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lonely deaths occur among middle-aged men, rather than the elderly or their female counterparts.
정부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노인이나 여성보다 중년 남성 사이에서 고독사가 유의미하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a report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Dec. 14, the number of men who died alone was over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women. About 500 women died alone each year between 2018 and 2021, while over 2,000 men did, with the largest figure standing at 2,817 in 2021.
1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고독사한 남성이 여성보다 4배 이상 많았다. 2018년에서 2021년 사이 매년 여성은 약 500명, 남성은 2,000명 이상이 사망했고, 2021년에는 남성 고독사 수가 2,817명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The first-ever official study on lonely deaths, which analyzed the cases that occurred between 2017 and 2021,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such deaths has been increasing during the past five years, with 3,378 such deaths reported last year.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발생한 사례를 분석한 최초의 고독사 공식 연구도 지난 5년간 고독사 건수가 증가했으며 지난해 3,378건이 보고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t is notable that people in their 50s and 60s accounted for 53 to 60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lonely deaths each year. Of the 3,378 people who died alone in 2021, 1,982 were aged between 50 and 60, while 624 were 70 or older.
매년 50~60대가 전체 고독사 건수의 53~60%를 차지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21년 고독사한 3,378명 중 50∼60대가 1,982명, 70세 이상이 624명이었다.
The results of the study did not come as a surprise to Kim Sae-byul, whose job over the last decade has been cleaning up after unattended deaths. Since setting up a trauma cleanup company called "Bio Hazzard" in 2010, Kim has witnessed thousands of lonely deaths, most of which occurred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지난 10년 동안 고독사 후 청소 작업을 해 온 김새별 유품정리사에게 이번 연구 결과는 놀랍지 않았다. 2010년에 ‘바이오해저드'라는 트라우마 정리 회사를 설립한 이후 김 씨는 대부분 서울과 그 주변 지역에서 발생한 수천 건의 고독사를 목격했다.
In a recent Korea Times interview, he estimated that the actual number of men who die alone is probably bigger than what the government study showed.
김새별 유품정리사는 최근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고독사하는 실제 남성의 수가 정부 조사가 밝힌 것보다 더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From my experience, the number of men dying alone is well over four times than that of women. And I would say that most of the cases (among men) I've dealt with were those in their 40s or 50s," said Kim.
김 씨는 "경험상 혼자 죽는 남성의 수가 여성의 4배를 훨씬 넘는다. 그리고 내가 다뤘던 (남성들 중에서) 대부분의 사례는 40~50대였다"고 말했다.
According to the cleanup specialist, poverty and unemployment are the most common struggles among Koreans who die alone, regardless of gender, but middle-aged men seem to have mor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se pressures.
김 유품정리사에 의하면 빈곤과 실업은 성별에 관계없이 고독사하는 한국인이 가지는 가장 흔한 어려움이지만, 중년 남성이 이러한 압박을 견뎌내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Roughly 90 percent of the men I've dealt with had been living alone after divorce, and had lost connection with their children. They were either unemployed or barely making ends meet by working on construction sites. All these factors seem to make them feel that life is less meaningful," Kim added.
김 씨는 "내가 상대한 남성의 약 90%는 이혼 후 혼자 살았고 자녀와의 연결이 끊겼다. 그들은 무직이거나 건설 현장에서 일하며 간신히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모든 요인이 삶이 덜 의미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Kim also mentioned excessive drinking habits and health issues as common traits of men who died alone.
김 씨는 또한 과음 습관과 건강 문제도 고독사하는 남성의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밝혔다.
KEY WORDS
■ unattended 지켜보는[돌보는] 사람이 없는
■ unnoticed 눈에 띄지 않는, 간과되는
■ cut off ~을 차단하다
■ significant (영향을 주거나 두드러질 정도로) 중요한
■ account for (부분·비율을) 차지하다
■ counterpart 상대, 대응 관계에 있는 사람[것]
■ witness 목격하다
■ regardless of ~에 상관없이
■ cope with ~에 대처하다
■ make ends meet 겨우 먹고 살 만큼 벌다
■ factor 요인
■ trait 특성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