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awmakers approve revision bills to the Civil Act and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during a plenary se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in Yeouido, Seoul, Thursday. Yonhap 목요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국회의원들이 민법 및 행정기본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
By Lee Hyo-jin
Koreans are expected to get one or two years younger from June next year, as the country has decided to scrap the so-called "Korean age system" in favor of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age calculation standard.
소위 말하는 ‘한국식 나이 체계'를 폐지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만 나이' 기준에 찬성하게 되면서 내년 6월부터 한국인들이 한 살에서 두 살 어려질 것으로 보인다.
Revisions to the Civil Act and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aim to unify the country's multiple age systems to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one, was pass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ursday. The revision bills will go into effect after six months.
목요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한국식 나이 계산 체계를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한 민법 개정안과 행정기본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이 개정안은 공포 6개월 후 시행된다.
Under the new bills, an individual's ag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ir birth date. A newborn baby will be counted as 0 year old and infants' age will be measured in months until they turn one year old.
개정안이 적용되면 한 사람의 나이는 태어난 날짜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신생아는 0세부터 나이를 세는 한편 출생 후 만 1년이 지나지 않은 영아들은 만 1년 이전에 개월 수로 표시하게 된다.
The legislation, which would abolish the centuries-old Korean way of counting one's age, comes amid growing calls to end social confusion from the mixed use of multiple age systems.
몇백 년 된 한국식 나이 계산 방식을 폐지하는 이번 제정법은 여러 나이 계산 시스템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혼란을 끝내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던 가운데 등장했다.
In Korea, three age systems are currently in use: the Korean traditional "counting age" system,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ystem and a third system used for convenience when one's exact birthdate is unknown.
한국에는 전통적인 한국식 ‘나이 계산' 방법,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나이 계산법을 비롯해 정확한 생일을 모를 때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계산법까지 총 세 가지 나이 계산 방식이 있다.
Unlike the international norm that starts with the age of zero at birth and then adds a year on birthdays, under the Korean system, a newborn baby's age is counted starting from one rather than zero, and everyone gets a year older all together on New Year's Day. The third system adds a year to a person's day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태어날 때 0세로 시작해 생일이 되면 한 살을 추가하는 국제 기준과 달리, 한국식 방법 아래에서 신생아는 0세가 아닌 1세로 나이를 계산하며 새해가 되면 모두 한 살을 더한다. 세 번째 방법은 새해 첫날 한 살을 추가한다.
Although Korea has used the international age system in leg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since 1962, people have largely gone by the traditional age system when determining how old they are in daily life.
한국은 1962년부터 사법 및 행정 영역에서 국제 나이 기준을 사용해왔으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이들이 몇 살인지 결정할 때 대부분 전통적인 나이 계산 방법을 따랐다.
Due to the mixed use of various methods, confusion and occasional disputes have arisen in society, such as when interpreting policies related to labor, social welfare and more recently in the case of vaccine administration.
다양한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면서 노동 및 사회 복지, 최근에는 백신 접종과 관련된 정책을 해석할 때 사회에서 혼란이 발생하고 이따금씩 분쟁이 일어났다.
Scrapping the Korean age system was one of the campaign pledges of President Yoon Suk-yeol, a promise that garnered wide public support from those preferring a simplified age system.
한국식 나이 체계 폐지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으며 단순화된 나이 체계를 선호하는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KEY WORDS
■ plenary session 전체 회의, 총회, 본회의
■ scrap 폐기하다, 버리다
■ in favor of ~에 찬성하여
■ unify 통합하다
■ revision 수정 (사항)
■ bill (국회에 제출된) 법안
■ measure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치
■ legislation (의회에서 통과되는) 제정법
■ abolish (법률•제도•조직을) 폐지하다
■ amid (특히 흥분•공포심이 느껴지는) 가운데
■ dispute 분쟁, 논쟁
■ interpret (특정한 뜻으로) 해석하다
■ pledge (굳은) 약속, 맹세, 서약
■ garner (정보•지지 등을) 얻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