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are Goryeo-era celadon wares, which were recovered from underwater excavations off the coast of Taean Country, South Chungcheong Province, from 2007 to 2010, are on view at the Taean National Maritime Museum. Courtesy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2007년에서 2010년까지 충청남도 태안군 해역 발굴지에서 복원된 희귀한 고려청자가 태안국립해양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By Park Han-sol
It was May 2007 when a fisherman working off the coast of Taean's Daeseom Islan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caught in his fish trap a webfoot octopus grabbing onto what appeared to be a celadon bowl from the Goryeo period (918-1392).
2007년 5월 충청남도 태안 대섬 해역에서 일하던 한 어부는 어물에 걸린 한 꼴뚜기가 고려시대(918~1392) 청자로 보이는 물건에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
The chance discovery soon led to a historic excavation of relics in the waters around Daeseom and Mado Islands from 2007 to 2010,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이 우연한 발견은 곧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대섬과 마도섬 주변 해역에서 실시한 역사적인 유물 발굴로 이어졌다.
The results were astounding.
결과는 아주 놀라웠다.
The institute uncovered cargo ships carrying over 29,000 artifacts that have been submerged for around nine centuries, including thousands of celadon items and wooden tags inscribed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rticles.
이 연구소는 약 900년 동안 묻혀 있던 2만9천 점이 넘는 유물을 담은 화물선을 발견했으며, 발견된 유물에는 수천 개의 청자와 각종 물품에 대한 정보가 상세히 새겨진 나무 판자가 있었다.
Among the maritime cultural heritage items that have been conserved and studied since then, 12th- and 13th-century celadon wares, which were designated treasures by the government, have been brought together for the exhibition, "Goryeo Celadon from the Sea off Taean," at the Taean National Maritime Museum.
이후 보존 및 연구를 거친 해양문화유산물품 중 보물로 지정된 12~13세기 고려청자를 국립태안해양박물관에서 ‘태안 바다 고려청자' 전시를 위해 한자리에 모았다.
The exhibition marks the first curated showcase of all treasure-designated celadon wares since their underwater excavation over a decade ago.
이 전시는 10년여 전 바다에서 발굴된 이후 보물로 지정된 고려청자만 모아 전시하는 첫 번째 사례다.
The "Toad-shaped Inkstone with Paste-on-paste Design" from the 12th century was discovered in 2007. The piece, which takes the form of a toad crouching down while raising its head, is covered with black and white spots on the surface.
12세기 ‘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는 2007년에 발견되었다. 두꺼비가 머리를 들고 다리를 웅크린 형태를 띠는 이 벼루는 표면이 흰색과 검은색의 반점으로 덮여있다.
Among just a handful of celadon inkstones that survive to the present day, this is the one and only relic shaped like a toad, according to the state-run institute.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현재까지 남아있는 청자로 제작된 벼루 중 두꺼비 모양은 유일한 사례다.
The pair, "Incense Burners with Lion-shaped Lid," found within the same vessel that contained the inkstone, is also on view. Their lid is especially noteworthy, as it is reminiscent of a distinctly shaped, threelegged lion holding a pearl in its paw.
벼루와 같은 배에서 발견된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한 쌍 또한 전시된다. 3개의 발이 달린 사자가 진주를 발에 안고 있는 모양을 연상시키는 뚜껑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And of course, when one speaks of Goryeo-era celadon ware, iconic vases cannot go without mention.
물론 고려 청자를 이야기할 때 상징적인 청자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Two prunus vases at the exhibition were excavated in 2010. One is incised with the designs of lotus and stem, while another is inlaid with patterns of chrysanthemum, peony, willow, heron and bamboo.
전시되는 두 매병은 2010년에 발굴되었다. 음각 매병에는 연꽃줄기 무늬를 새겨 넣었고 상감 매병에는 국화, 모란, 버드나무, 갈대, 대나무, 황촉규를 상감했다.
Accompanying the two relics are bamboo strips inscribed with records detailing the name and status of the recipient as well as the contents inside. This makes them the only surviving prunus vases that have been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their use.
두 매병과 함께 발견된 죽찰에는 화물의 수취자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기록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국내 매병 중 용도가 확인된 유일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Goryeo Celadon from the Sea off Taean" runs from Friday to June 25, 2023 at the Taean National Maritime Museum.
‘태안 바다의 고려청자'는 금요일부터 2023년 6월 25일까지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열린다.
KEY WORDS
■ webfoot octopus 꼴뚜기
■ celadon 청자
■ excavate 발굴하다
■ relic 유물
■ astounding 놀라운, 믿기 어려운
■ uncover 알아내다
■ submerge 물 속에 잠기다
■ inscribe 쓰다[새기다]
■ article 물품[물건]
■ conserve 보존하다
■ mark (중요 사건을) 기념하다, 축하하다
■ showcase 공개행사
■ designate 지정하다
■ crouch down 웅크리다
■ state-run 국영의
■ incise (글자·무늬 등을) 새기다
■ inlaid with 무늬를 새긴, 상감 세공을 한
■ reminiscent 연상시키는
■ recipient 수취인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