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hoppers pick out 2023 calendars at a bookstore in downtown Seoul, Dec. 19. Yonhap 19일 서울의 한 대형서점에서 시민들이 2023년 달력을 고르고 있다. 연합 |
With the New Year coming, it is time to replace 2022 calendars and diaries with new ones. There used to be plenty of free calendars and diaries around this time of the year, but that isn't the case anymore. Calendars issued by banks, which are especially popular among Koreans, are now hard to obtain and are being traded on the secondhand markets. 새해가 다가오면서 2022년 달력과 다이어리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할 때가 됐다. 일년 중 이맘 때쯤이면 무료 달력과 다이어리가 많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한국인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 있는 은행에서 발간하는 달력들은 이제 구하기가 어려워 중고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Kwon, a housewife in Busan, visited a bank branch near her home to get a New Year calendar, but instead saw a notice that they had run out of stock. "I went to another bank branch, but they said they only give it to people who have transaction records with their bank. I had to ask one of my friends whose daughter is a bank teller to get me one," she said.
부산에 사는 주부 권 모씨는 새해 달력을 받기 위해 집 근처 은행 지점을 찾았지만, 대신 재고가 다 떨어졌다는 안내문을 봤다. 권 씨는 "다른 은행 지점에 갔었지만 은행 거래 기록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준다고 했다. 그래서 딸이 은행원인 친구에게 부탁해서 하나 달라고 해야 했다"고 말했다.
It was customary for companies, diverse organizations and even small businesses here to give out calendars and diaries to customers, business partners or even potential customers. They would put a lot of effort into the production of the calendars.
회사, 다양한 기관, 소기업들도 고객, 사업 파트너, 잠재고객들에게 달력과 다이어리를 배포하는 것이 관습적이었다. 전부 달력 제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었다.
The calendars often feature paintings by renowned artists, based on themes chosen by the company after much consideration. Once the calendar is chosen by the customer, it will be on the wall for the whole year, reminding the customer of the company brand every day. Bank employees go out into the streets to distribute their calendars as a part of marketing and promotional campaigns.
달력에는 한 회사가 고심 끝에 선택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유명 화가들의 그림이 자주 등장한다. 고객이 달력을 선택하면, 달력은 1년 내내 벽에 붙어 고객에게 매일 회사 브랜드를 각인시킨다. 은행 직원들은 마케팅과 홍보 캠페인의 일환으로 달력을 배포하기 위해 거리로 나선다.
Many people thus ended up getting more calendars and diaries than they needed, and they would pick the best among them and share the extra ones with others or sometimes even discard them.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달력과 다이어리를 받게 됐고, 그 중 가장 좋은 것을 골라 다른 사람들과 남는 것을 공유하거나 심지어 버리기까지 했다.
There is no such abundance anymore and chances are some people probably have to buy a calendar somewhere if they need it.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런 풍요로움이 없으며, 어떤 사람들은 달력이 필요할 경우 어딘가에서 사야 할 수도 있다.
The scarcity is partly due to the decrease in demand for paper calendars. Smartphones are substituting calendars and diaries. It is also because businesses are cutting down on expenses amid the economic slowdown. "One of my key customers asked if he could get some leather journals issued by my company. However, the company limited it to only one per employee," a worker of a state-run enterprise said.
어떤 면에서 달력 품귀현상은 종이 달력에 대한 수요 감소에 있다. 스마트폰이 달력과 다이어리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침체 속에서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 공기업 직원은 "주요 고객 중 한 명이 회사에서 발행하는 양장 다이어리를 구할 수 있는지 물었다. 하지만 회사는 직원 1인당 1명으로 제한했다"고 말했다.
2022년 12월 28일자 코리아타임스 4면 기사
KEY WORDS
■ gain popularity 인기를 얻다
■ run out of 다 떨어지다, 바닥 나다
■ customary 관습적인
■ substitute 대체하다
■ economic slowdown 경기 침체
■ leather journal 회사에서 발행하는 양장 다이어리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