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SK teams up with TerraPower for lucrative SMR market
SK, 수익성 좋은 소형모듈원자로 시장 위해 테라파워와 협력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met with Microsoft co-founder Bill Gates in Seoul on Tuesday and agreed to expand their relationship and strengthen cooperation. Their meeting came a day after SK Group announced a plan to invest $250 million in TerraPower, a U.S. nuclear design company, founded by Gates, to develop small modular reactors (SMRs).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4일 서울에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를 만나 양사 관계를 확대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들의 만남은 SK그룹이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개발을 위해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원자력 설계회사 테라파워에 2억 5000만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SK's move comes as many companies seek to enter the nuclear power industry which had been devastated by the nuclear phase-out policy of the previous Moon Jae-in administration. Equipped with state-of-the-art, sodium-cooled fast reactor (SFR) technology, the U.S. firm plans to set up the first SFR factory in there in 2028.
SK의 이 같은 행보는 지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황폐화된 원전산업에 많은 기업들이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최첨단 소듐냉각고속로(SFR) 기술을 갖춘 이 회사는 2028년 이곳에 최초의 SFR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has pledged to nurture the nuclear industry to make the nation take another leap forward as the world's No. 1 nuclear energy powerhouse. Prompted by the shift in policy, an increasing number enterprises have been rushing to enter the SMR market. For instance, GS Energy, Doosan Enerbility and Samsung C&T signed memorandums of understanding (MOUs) with NuScale Power, the world's largest SMR firm, for joint production and operation of SMRs.
윤석열 행정부는 우리나라가 세계 1위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원자력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책 변화에 따라 SMR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GS에너지, 두산 에너빌리티, 삼성물산은 세계 최대의 SMR 회사인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와 SMR의 공동 생산 및 운영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MR refers to a small-sized nuclear reactor with less than 300 megawatts of power generation, of which parts are manufactured in factories for onsite assembly. Compared to large-sized reactors, it can be built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less expenses. It is less vulnerable to radioactive leaks, and it can be installed anywhere, even remote mountainous areas.
SMR은 발전량이 300메가와트 미만인 소형 원자로를 말하며, 이 중 부품은 현장 조립을 위해 공장에서 제작된다. 대형 원자로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건설할 수 있다. 방사능 누출에 덜 취약하며 멀리 떨어진 산간 지역이라도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The British National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aid SMRs will go into full-swing commercial use from 2030 and the market will continue to expand to 630 trillion won ($481 billion) by 2035. Thus domestic companies should maximize efforts to lead the lucrative market. Despite its nuclear phase-out policy, the Moon administration pushed for the development of SMRs.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는 SMR이 2030년부터 본격적인 상업용으로 전환될 것이며 2035년까지 시장은 630조원으로 계속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은 수익성이 높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문 정부는 탈원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SMR 개발을 추진했다.
Now the Yoon government and the industry should double down on exporting nuclear reactors, and strengthening the nuclear power ecosystem. Given this, it is encouraging the Korea Hydro Nuclear Power (KHNP) is about to sign a contract with Saudi Arabia to supply part of a massive nuclear power plant. More orders are expected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the Czech Republic and Poland.
이제 윤 정부와 산업계는 원자로 수출과 원자력 생태계 강화를 위해 배전의 노력을 해야 한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한국수력원자력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 원전의 일부를 공급하는 계약을 앞두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다. 영국, 체코, 폴란드와 같은 유럽 국가들로부터 더 많은 주문이 예상된다.
President Yoon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Wednesday marking his 100th day in office that his government has managed to revive the nation's nuclear industry by relinquishing his predecessor's nuclear phase-out policy. Joint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exports of nuclear reactors, making the most of the nation's competitive advantage in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Yoon administration should also help businesses enter the SMR market. Further, it needs to pay more heed to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while expanding into treatment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윤 대통령은 수요일 취임 100일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에서 정부가 전 정권의 탈원전 정책을 되돌려 한국의 원자력 산업의 부활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원전 수출 확대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원전 경쟁력 우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또한 기업들의 SMR 시장 진입을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HLW) 처리 등 원전의 안전성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8월 18일 (목)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phase-out 단계적 철수
■ state-of-the-art 최신의
■ pledge 약속하다
■ on-site 현장의, 현지의
■ double down on ~에 대한 노력을 배가하다
■ relinquish (특히 마지못해) 포기하다, 내주다
■ pay heed to ~에 주의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