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site of Gascade and Deutsche ReGas in Lubmin, northeastern Germany, Aug. 30 Korea Times file 8월 30일 촬영된 독일 북동부 루브민에 위치한 가스케이드와 도이치 리가스 부지 |
By Lee Kyung-min
Concerns are growing over a possible shortage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in the upcoming winter as prices are expected to soar due to Russia's supply cut to European buyers and Australia's move to curb exports of key natural resources, market watchers said Tuesday.
화요일 시장 연구가들은 러시아의 유럽 국가들에 액화 천연 가스(LNG) 공급 중단과 호주의 주요 천연자원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가격 급등이 예상되어 다가오는 겨울 LNG 부족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Of particular concern to Korea is Australia's move to secure the resources for domestic winter heating demand, pushing up LNG prices, which is certain to deepen energy woes for countries in Europe and the Asia Pacific region.
특히 한국이 우려하는 점은 자국 내 겨울철 난방 수요 충족을 위해 자원을 확보하려는 호주의 조치인데, 이 조치는 LNG 가격을 올려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에너지 고민을 심화시킬 것이 확실하다.
The 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 Australia's competition regulator, recommended that its government restrict LNG exports, out of concerns about supply being overshot by demand next year.
호주의 경쟁 규제기관인 호주 경쟁 및 소비자 위원회(ACCC)는 내년도 LNG 수요가 공급을 앞설 수 있다는 우려에서 호주 정부가 LNG 수출을 제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Data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howed Korea imported over $6 billion (8.2 trillion won) worth of LNG from Australia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This is almost twice the amount bought from Qatar ($3.63 billion) in the same period, followed by the U.S. ($2.5 billion), Oman ($2.3 billion dollars) and Malaysia ($2.2 billion).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은 호주로부터 60억 달러 규모의 LNG를 수입했다. 이는 같은 기간 카타르(36억 3천만 달러)에서 구입한 양의 약 두 배 수준이며, 이어서 미국(25억 달러), 오만(23억 달러), 말레이시아(22억 달러) 순이다.
Experts say the geopolitical uncertainties from Russia's invasion of Ukraine could develop into a full-blown energy crisis in the months to come, a much-dreaded scenario for Korea, with an energy self-sufficiency rate of 3 percent.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수 개월 내에 전면적인 에너지 위기 사태로 번질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자급률이 3%에 불과한 한국이 몹시 두려워하는 전개 상황이라고 전했다
Price drop not likely
낮은 가격 하락 가능성
"The elevated prices of LNG will not come down, at least not any time so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oil policy research team head Jung Jun-hwan said.
정준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본부장은 "상승한 LNG 가격은 적어도 가까운 시일 내에 하락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Russia's weaponizing of its key natural resource is working, and Russia knows it. European countries will have to bear the full brunt of the supply cut, including soaring prices," he added. Korea's concern is more about gas rate increases rather than an outright LNG shortage, in his view. However the country's winter heating costs will sharply rise due to continued wild fluctuation in global key commodity prices in the face of Russian risks.
정 본부장은 "러시아의 주요 자원 무기화 조치는 효과적이며 러시아도 이를 알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가격 폭등을 비롯한 공급 중단을 전면에서 견뎌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우려는 전면적인 LNG 부족보다는 LNG 가격 상승과 더 관련 있다는 것이 정 본부장의 관점이다. 그러나 국내 겨울철 난방비는 러시아 위험에 직면해 전세계 주요 물자 가격이 지속적으로 제멋대로 변동하며 급격히 치솟을 것이다.
"The price will hike if the Russia-Ukraine crisis takes a turn for the worse, a scenario we cannot completely rule out."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가 악화될 경우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는 전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KEY WORDS
■ soar 급증하다, 솟구치다
■ curb 제한[억제]하는 것
■ secure 얻어 내다, 획득[확보]하다
■ woe 고민, 문제
■ overshoot (목표 지점보다) 더 가다
■ geopolitical 지정학의, 지정학적인
■ full-blown ~의 모든 특성을 갖춘
■ self-sufficiency 자족, 자급자족
■ weaponize 무기화하다
■ bear the brunt of ~에 정면으로 맞서다, 견디다
■ outright 완전한, 전면적인
■ fluctuate 변동[등락]을 거듭하다
■ hike (가격, 경비 등의) 대폭 인상[급등]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