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wo workers install a steel building frame at a construction site in Seoul in this file photo. Newsis 이 자료 사진에서 서울에 위치한 한 건설 현장의 두 근로자들이 철골조를 설치하고 있다. |
By Park Jae-hyuk
Domestic builders are in talks with the government about increasing the supply of foreign construction workers amid an intensifying shortage of laborers at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Tuesday.
화요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들은 건설근로자 부족이 심각한 가운데 외국인력 공급 확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Korea Specialty Contractors Association (KOSCA) last month for eased regulations on hiring foreign construction work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iscussed the issue with the association and also with the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지난달 국토교통부는 대한전문건설협회(전건협)가 건설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요구에 응해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건설산업연구회와 함께 이 사안을 논의했다.
The KOSCA asked the ministry especially to increase or eliminate existing quotas on foreign construction workers holding E-9 or H-2 visas. The association also proposed pardoning employers restricted from hiring migrant workers for up to three years, due to their use of undocumented migrant labor.
특히 전건협은 국토교통부에 E-9 혹은 H-2 비자를 발급받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현존 쿼터를 제거하거나 증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전건협은 불법인력 고용으로 최대 3년 동안 외국인 고용이 금지된 기업들의 사면도 제안했다.
These suggestions were made as more young Korean nationals have been turning away from work that involves manual labor.
이러한 제안은 육체 노동이 포함된 업무를 기피하는 한국인 청년들이 많아지면서 만들어졌다.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Construction Workers Mutual Aid Association, the number of workers of Korean nationality at construction sites stood at 1.53 million last year, despite demand for 1.75 million workers. As there are only 65,000 construction workers of foreign nationality holding E-9 or H-2 visas, local builders appear to have hired 150,000 foreign workers illegally last year.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근로자 인력 수요는 175만 명이었으나 내국인력은 153만 명에 그쳤다. E-9 혹은 H-2 비자를 가진 외국인 근로자가 6만5000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건설회사들은 외국인 근로자 15만 명을 불법으로 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In the wake of the eased quarantine measures this year, the number of newly employed construction workers has decreased, while more workers have left the industry," the association said in a report.
협회는 보고서에서 "올해 자가격리 조치가 완화됨에 따라 더 많은 근로자들이 건설업계를 떠난 반면 새로 고용한 건설근로자 수는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Rep. Kweon Seong-dong, the floor leader of the ruling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also said last month that foreign workers should be allowed to arrive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to solve the labor shortag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지난달 건설업계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에 최대한 조속히 입국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domestic builders have continuously urged the government to increase the supply of construction workers of foreign nationality.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건설사들은 외국 국적의 건설근로자 수급 증대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촉구해왔다.
Beginning late last year, KOSCA submitted its request to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s Environment & Labor Committee, as well as the land ministry.
지난해 말 전건협은 국무총리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국토교통부에 건의서를 제출했다.
The labor ministry, however, did not include the construction industry among the sectors that will be supplied with a large number of foreign workers. According to the ministry's announcement earlier this month, additional workers of foreign nationality will be sent to shipyards, factories, farms, public transport operations and small restaurants and stores.
그러나 고용노동부는 대규모 외국인 노동인력을 공급받는 분야에 건설업을 포함하지 않았다. 이번 달 초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조선업, 제조업, 농업, 대중교통, 소규모 음식점과 소매업에 외국 국적 근로자를 추가적으로 지원할 것이라 전했다.
The labor ministry explained it had made that decision, as local builders have not completed hiring the annual quota of 2,400 foreign workers. However, industry officials pointed out that most builders are banned at this moment from hiring foreign labor, as a disciplinary measure for having illegally employing undocumented people.
고용노동부는 현재 국내 건설사들이 연간 2400명인 외국인력 쿼터를 모두 소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불법인력 고용으로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고용제한 처분을 받았기 때문에 합법적 인력 고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KEY WORDS
■ domestic 국내의
■ supply 공급
■ intensify 심해지다
■ shortage 부족
■ eliminate 없애다, 제거하다
■ quota 한도, 몫
■ pardon 사면하다, 용서하다
■ undocumented 증거 자료가 없는, 허가증이 없는
■ turn away 물리치다, 외면하다
■ involve 수반하다, 포함하다
■ despite ~에도 불구하고
■ disciplinary 징계의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