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ndustry players advised to do more research on failed projects
업계 관계자들, 실패한 프로젝트 거듭 연구 권고
By Lee Min-hyung
Korean blockchain operators are being urged to reinforce verification of their software programs and stay alert to any danger signs amid unceasing concerns over the possible recurrence of an accident similar to the recent Terra-Luna fiasco, industry officials said.
최근 테라루나 사태와 유사한 사고의 재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블록체인 사업자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검증을 강화하고 위험 신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It has been three months since the once-promising algorithmic stablecoin and its sister token stunned the blockchain industry after their sudden collapse. The shock, however, does not appear to have lasted long here, as few noticeable technological improvements have been made on some local blockchain platforms.
한때 유망했던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과 그 자매 토큰의 갑작스러운 붕괴가 블록체인 업계를 놀라게 한 지 3개월이 지났다. 하지만 일부 국내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눈에 띄는 기술 개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충격은 오래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Klaytn, a blockchain platform developed by Korea's leading mobile giant Kakao, is losing the market's trust after it was exposed to some network errors.
카카오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이 일부 네트워크 오류에 노출돼 시장의 신뢰를 잃고 있다.
The blockchain caught the attention of local partners, such as game firms, as it was developed by one of the most famous tech firms here. But with more partner firms leaving the Klaytn ecosystem, the price of the coin also nosedived. It was once traded at more than $4 in March last year, but its value plunged to around $0.3 as of Thursday.
블록체인은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기술 회사 중 하나가 개발했기 때문에 게임 회사와 같은 현지 파트너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더 많은 파트너 회사가 클레이튼 생태계를 떠나면서 코인 가격도 급락했다. 지난해 3월 한때 4달러 이상에 거래됐으나 목요일 현재 0.3달러 선까지 폭락했다.
Industry sources said blockchain players should do more research on failed cases, rather than aggressively promoting their next projects and future roadmaps.
업계 소식통은 블록체인 플레이어가 다음 프로젝트와 미래 로드맵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보다 실패한 사례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Tech powerhous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re accustomed to analyzing why certain projects ended up in failure and remain cautious not to make a similar mistake again," a cryptocurrency industry source said.
암호화폐 업계의 한 소식통은 "미국과 같은 기술 강국은 특정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유를 분석하는 데 익숙하며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When there is a problem, the U.S. focuses more on finding out the root cause behind it, but this is not the case in Korea, according to the official.
문제가 생기면 핵심 원인을 찾는 데 미국은 집중하는데 한국은 그렇지 않다는 게 관계자의 말이다.
"We are not used to taking such an attitude in case of a crisis," the source said. "Most Korean companies take makeshift measures without endeavoring to find accurate solutions against the possible recurrence of such incidents."
해당 소식통은 "우리는 위기 상황에서 이런 태도를 취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이 이러한 사건의 재발 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임시방편을 취하고 있다."
A few blockchain companies brought up the issue of the recent Terra debacle and raised awareness of security loopholes during the recent Korea Blockchain Week, the nation's largest annual blockchain event which ended its two-day run on Tuesday.
일부 블록체인 회사는 지난 화요일 이틀간의 진행을 마친 국내 최대 규모의 연례 블록체인 행사인 최근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에서 최근 테라 사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보안 허점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KEY WORDS
■ reinforce 강화하다
■ verify 확인하다
■ recurrence 반복, 재발
■ stun 깜짝 놀라게 하다
■ nosedive 급락하다
■ plunge 급락하다
■ be accustomed to ~에 익숙하다
■ root 핵심
■ makeshift 임시변통의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