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 |
By Lee Hae-rin
On New Year's Day this year, Ahn Ki-hoon, a professor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carried out a cesarean operation to help a pregnant woman deliver triplets.
올해 첫 날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산부인과 안기훈 교수는 한 임산부의 세쌍둥이 출산을 돕기 위해 제왕절개 수술을 했다.
"It was a very close moment to birth," Ahn told The Korea Times in a recent phone interview, explaining that the mother was going through premature contractions in the 33rd week of pregnancy. With the help of a pediatric doctor, an anesthesiologist and Ahn, the mother delivered three newborns, all healthy and well, despite the high-risk conditions.
안 교수는 최근 코리아타임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출산이 임박한 순간"이었다며 산모가 임신 33주차에 조기 진통을 겪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아과 의사, 마취과 전문의 그리고 안 교수의 도움으로 산모는 고위험임신 상황에서도 세 명의 신생아를 모두 건강하게 출산했다.
Ahn's hospital is one of the four high-risk pregnancy medical centers as designated in 2019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t runs a specialized geriatric pregnancy clinic for aged mother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apital.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2019년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4대 고위험 임신의료센터 중 하나로, 서울 동북부에서 고령 산모를 위한 전문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The doctor said he has witnessed a rise in multiple births in delivery rooms and neonatal wards in recent years, commenting that the increased multiple births is a social phenomenon proven by demographics.
안 교수는 최근 몇 년 동안 분만실과 신생아 병동에서 다태아 증가를 목격했다며, 이러한 증가는 인구통계학적으로 증명된 사회적 현상이라고 말했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latest figures released on Aug. 29, about five out of 100 babies are multiples. 5.4 percent, or 14,000 of 260,000 newborns brought in Korea last year were multiples. That includes 136,000 twins and 500 triplets, taking 5.2 and 0.2 percent of the total babies, respectively.
8월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최신 출생통계에 따르면 아이 100명 중 5명은 타태아였다. 지난해 국내에서 탄생한 신생아 26만여 명 가운데 다태아는 5.4%인 1만4천 명이었다. 다태아 중 쌍태아가 13만6천 명, 삼태아 이상은 5백 명이 포함돼 각각 전체 출생아의 5.2%와 0.2%였다.
By decade, the country's twin rate has been steadily on the rise. The peak, however, was reached this year, as the figure grew slowly from 1990's 1 percent to 2002's 2 percent, and finally surpassed 5 percent last year.
10년 동안 한국의 다태아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 1%에서 2002년 2%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지난해 5%를 돌파하면서 올해 정점에 이르렀다.
The state statistics office and experts point out that the country's twins boom is the result of postponement of parenthood and increased us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fertility services. On average, twins' mothers are 34.8 years old, 1.5 years older than other mothers.
국가 통계청과 전문가들은 한국의 쌍둥이 붐은 출산 연령 증가와 불임 서비스에서 난임 시술 증가의 결과라고 지적한다. 평균적으로 쌍둥이 엄마의 평균 연령은 34.8세로, 다태아 엄마의 평균 연령보다 1.5살 많다.
Their correlation is also apparent in differing twin birth rates shown by mothers' age groups — the percentage is overwhelmingly higher among mothers aged between 35 and 39 at 8.1 percent, compared to 2 percent to 4 percent among younger age groups.
이들의 상관관계는 산모의 연령 그룹에 따라 달라지는 쌍둥이 출생률에서도 분명한데, 다태아 출생 비중은 엄마 나이 35~39세에서 8.1%로 압도적으로 높으며 더 젊은 엄마 연령대에서는 2%에서 4%였다.
Multiples have grown more visible outside hospitals and statistics as well.
다태아는 병원 및 통계 밖에서도 더 눈에 띄게 되었다.
KEY WORDS
■ cesarean 제왕절개의
■ carry out 수행하다
■ triplet 세 쌍둥이
■ premature contraction 조기 수축(진통)
■ pediatric 소아과의
■ anesthesiologist 마취과 의사
■ deliver (아기를) 출산하다
■ designate 지정하다
■ geriatric 노인병학의
■ neonatal ward 신생아 병동
■ demographics 인구 통계 자료
■ postpone 연기하다, 미루다
■ correlation 연관성
기사 원문 보기